맨위로가기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은 1949년 동독 건국 이전부터 활동을 시작하여, 1990년 독일 통일로 해체될 때까지 존재했다. 1952년 FIFA에 가입했으며, 1974년 서독 월드컵에 유일하게 본선에 진출하여 8강에 올랐다. 올림픽에서는 1976년 금메달, 1980년 은메달을 포함하여 총 4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요아힘 슈트라이히는 최다 출전 및 최다 득점 선수로 기록되었으며, 독일 통일 후에는 울프 키르스텐, 마티아스 잠머 등 8명의 선수가 동독과 통일 독일 대표팀에서 모두 활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동독의 축구 - DDR 오버리가
    DDR 오버리가는 1948년 동독에서 출범하여 1991년 폐지될 때까지 운영된 프로 축구 리그로, 베를리너 FC 디나모가 10번의 우승으로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했다.
  • 유럽의 없어진 축구 국가대표팀 -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
    체코슬로바키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3년 체코와 슬로바키아로 분열되기 전까지 존재하며 월드컵 준우승 2회, 유로 우승 1회, 올림픽 금메달 1회 등의 업적을 남긴 팀이다.
  • 유럽의 없어진 축구 국가대표팀 -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발칸 반도를 대표하는 팀으로 FIFA 월드컵 8회,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4회, 하계 올림픽 10회 출전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내전으로 해체되었으며, 스테판 보벡과 드라간 자이치가 각각 최다 득점과 최다 출전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
일반 정보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
로고
FIFA 트리그램GDR
별칭"Weltmeister der Freundschaftsspiele" (친선 경기 세계 챔피언)
협회독일 민주 공화국 축구 협회
연맹UEFA (유럽)
홈 경기장첸트랄슈타디온, 라이프치히
통계
최다 출장 선수요아힘 슈트라이히 (98회)
최다 득점 선수요아힘 슈트라이히 (53골)
첫 경기3–0 (바르샤바, 폴란드; 1952년 9월 21일)
마지막 경기0–2 (브뤼셀, 벨기에; 1990년 9월 12일)
최대 승리비공식 경기
0–14 (콜롬보, 실론; 1964년 1월 8일)
공식 경기
1–12 (콜롬보, 실론; 1964년 1월 12일)
최대 패배비공식 경기
5–0 (헝가리; 1952년 5월 18일)
공식 경기
3–0 (바르샤바, 폴란드; 1952년 9월 21일)
4–1 (카디프, 웨일스; 1957년 9월 25일)
1–4 (라이프치히, 동독; 1957년 10월 27일)
3–0 (아크라, 가나; 1964년 2월 23일)
3–0 (나폴리, 이탈리아; 1969년 11월 22일)
3–0 (안트베르펜, 벨기에; 1973년 4월 18일)
3–0 (글래스고, 스코틀랜드; 1974년 10월 30일)
3–0 (로테르담, 네덜란드; 1978년 11월 15일)
3–0 (부다페스트, 헝가리; 1979년 3월 28일)
3–0 (고이아니아, 브라질; 1986년 4월 8일)
3–0 (몬테비데오, 우루과이; 1985년 1월 29일)
4–1 (코펜하겐, 덴마크; 1985년 5월 8일)
3–0 (키예프, 소비에트 연방; 1989년 4월 26일)
3–0 (빈, 오스트리아; 1989년 11월 15일)
3–0 (쿠웨이트 시티, 쿠웨이트; 1990년 1월 24일)
FIFA 월드컵
출전 횟수1회
첫 출전1974년
최고 성적2차 그룹 스테이지 (1974년)
올림픽
1976 몬트리올금메달
1980 모스크바은메달
1972 뮌헨동메달

2. 역사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은 1952년부터 1990년까지 존속했던 동독의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1949년 동독 건국 전, 소련 점령 지역에서 축구 경기를 위한 노력이 있었고, 헬무트 쇤서독으로 이주하기 전 작센과 소련 점령 지역의 대표팀을 감독했다. 1951년 동독은 FIFA 가입을 신청했지만, 독일 축구 협회의 반대에 부딪혔다. FIFA는 1952년 동독 축구 협회를 정회원으로 승인했다.

첫 국제 경기는 1952년 바르샤바에서 열린 폴란드와의 친선 경기(0-3 패)였다. 1954년 1954년 FIFA 월드컵에는 불참했고, 1958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처음 참가하여 웨일스를 상대로 2-1 승리를 거두기도 했으나, 본선 진출에는 실패했다. 이후 1970년까지 월드컵 본선 진출에 계속 실패했다.

최초의 월드컵 결승전 경기를 위한 대기 자세


1974년 서독 월드컵은 동독이 유일하게 본선에 진출한 대회였다. 동독은 서독과의 경기에서 위르겐 슈파르바서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는 이변을 연출하며 2차 조별리그에 진출했지만, 브라질네덜란드에 패하며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다.

동독은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1976년부터 1988년까지 예선에서 계속 탈락했고, 1992년 대회 예선에는 참가를 포기했다.

올림픽 축구에서는 서독](아마추어팀)보다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1964년에는

2. 1. 초기 역사 (1949년-1958년)

1949년 동독 건국 전, 소련 점령 지역에서는 축구 경기를 위한 노력이 있었다. 헬무트 쇤서독으로 이주하기 전 작센과 소련 점령 지역의 대표팀을 감독했다. 1951년 2월 6일, 동독은 FIFA 가입을 신청했지만, 이미 정회원이었던 독일 축구 협회의 반대에 부딪혔다. FIFA는 1951년 10월 6일 동독 축구 협회를 잠정 회원으로, 1952년 7월 24일 정회원으로 승인했다.

첫 국제 경기는 1952년 9월 21일 바르샤바에서 열린 폴란드와의 친선 경기였으며, 3만 5천 명의 관중 앞에서 0-3으로 패했다. 첫 홈 경기는 1953년 6월 14일 드레스덴의 하인츠-슈타이어 스타디온에서 불가리아와 0-0 무승부를 기록했으며, 5만 5천 명의 관중이 경기를 지켜봤다. 1953년 동독 봉기 직후 경기가 중단되었다가 1954년 5월 8일 루마니아와의 경기(0-1 패)로 재개되었다.

동독은 1958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참가하여 1957년 5월 19일 라이프치히의 젠트랄슈타디온에서 웨일스를 상대로 2-1 승리를 거두었다. 이 경기에는 10만 장의 티켓이 공식적으로 발매되었지만, 12만 명의 관중이 몰려들어 만원 사례를 이루었다.

2. 2. 월드컵 예선 도전과 좌절 (1958년-1970년)

동독은 1958년 FIFA 월드컵 예선에 처음 참가하여 1승 3패의 성적으로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1] 이후 1962년 FIFA 월드컵 예선(1무 2패)[1], 1966년 FIFA 월드컵 예선(1승 2무 1패)[1], 1970년 FIFA 월드컵 예선(2승 1무 1패)[1]에 참가했으나 모두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동독의 FIFA 월드컵 예선 성적 (1958년-1970년)
대회경기득점실점승점
1958년 FIFA 월드컵41035123
1962년 FIFA 월드컵3012361
1966년 FIFA 월드컵4121555
1970년 FIFA 월드컵4211777


2. 3. 1974년 서독 월드컵: 유일한 본선 진출과 서독과의 역사적 대결

동독은 1974년 서독 월드컵에서 2차 리그에 진출했으며, 이것이 동독의 월드컵 최고이자 유일한 성적이다.

이 대회에서 서독과의 역사적인 첫이자 마지막 경기가 성사되었다.[7] 1차 리그 최종전으로, 경기 장소는 함부르크의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이었다. 당초 양국은 월드컵 개최 장소로 베를린의 올림픽 스타디온을 두고 큰 논쟁을 벌였다. 조 추첨 결과, 양국이 같은 조에 편성되자 현장은 크게 술렁였다. 또한, 동독이 반대했던 베를린에서 칠레와의 경기가 개최되게 되었다.

대부분 서독의 압도적인 승리를 예상했지만, 동독이 1-0으로 승리하는 이변을 연출했다. 이 승리로 동독은 1차 리그를 1위로 통과하여 2차 리그에 진출했다.

년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
1974년2차 조별리그6위622255
합계2차 조별리그1/10622255


2. 4. 1974년 월드컵 이후 (1978년-1990년)

동독은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1974년 월드컵과 같은 큰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서독이 이 대회들에서 자주 우승한 것과 비교하면 더욱 두드러진다. 다음은 동독의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 기록이다.

년도순위경기 수득점실점
1976년2위623187
1980년3위65121811
1984년3위621377
1988년2위8421134
1992년예선 참가 포기


2. 5. 올림픽에서의 성과

동독은 올림픽 축구에서 서독(아마추어팀)보다 더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는 최고 리그의 정예 선수들을 기용했기 때문이다. 1956년, 1960년, 1964년에는 양국이 통일 독일팀을 파견했다. 1964년에는 동독 팀이 서독 팀을 물리쳐 대표팀으로 선발되었고, 독일 대표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동독은 1972년 뮌헨에서 동메달, 1976년 몬트리올에서 금메달, 1980년 모스크바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동독이 올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거둔 것은 동구권의 국가 아마추어 제도가 올림픽 아마추어 헌장에 부합했기 때문이다. 다른 동구권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동독도 예외는 아니었다.

1964년에는 서독과의 연합팀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1972년에는 동독 단독으로 소련과 동메달을 나눠 가졌다. 1976년에는 결승전에서 폴란드를 3-1로 꺾고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0년에는 결승전에서 체코슬로바키아에 0-1로 패하여 은메달에 그쳤다.

올림픽 경기 기록width=1% rowspan=13|예선 기록
년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점실점선수 명단경기 수득점실점
1952년불참불참
1956년기권기권1956년
1960년예선 탈락2101141960년
1964년동메달3위6411124선수 명단74211461964년
1968년예선 탈락65011661968년
1972년동메달3위7412239선수 명단4310701972년
1976년금메달1위5410102선수 명단6420911976년
1980년은메달2위6411122선수 명단디펜딩 챔피언 자격으로 출전1980년
1984년기권기권1984년
1988년예선 탈락84311251988년
합계금메달 1개10개 대회 중 4회24164457173321845922


2. 6. 독일 통일과 대표팀 해체 (1990년)

1990년 9월 12일, 동독은 벨기에 브뤼셀에서 벨기에를 상대로 마지막 경기를 치렀다.[6] 이 경기는 독일 재통일(10월 3일)이 한 달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서 열렸으며, 동독의 283번째 A매치였다.[6] 베를린 장벽 붕괴로 동독의 여행 제한이 이미 해제되었기 때문에, 많은 동독 팬들이 원정 경기임에도 불구하고 경기장을 찾았다. 경기는 벨기에의 2-0 승리로 끝났다.[6]

동독은 월드컵이나 유럽 선수권 대회와 같은 주요 대회에서 서독에 비해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했다.

3. 주요 대회 기록

FIFA 규정 때문에 1990년 동독 축구 연맹(DFV)과 서독 축구 연맹(DFB)이 통합되기 전까지는 동독 대표팀 경기에 출전했던 선수들은 서독 대표팀에서 뛸 수 없었다.

대회결과
FIFA 월드컵1회 본선 진출 (6위)
UEFA 유로본선 진출 없음
올림픽금메달 1회, 은메달 1회, 동메달 2회



월드컵이나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부진했지만, 동구권 국가 아마추어 제도가 올림픽 아마추어 헌장에 부합했기 때문에 동독은 올림픽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8]


  • 1964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
  • 1972년 하계 올림픽: 동메달
  • 1976년 하계 올림픽: '''금메달'''
  • 1980년 하계 올림픽: 은메달

3. 1. FIFA 월드컵

동독은 1954년 FIFA 월드컵에는 불참하였고, 1958년부터 1990년 FIFA 월드컵까지는 예선에서 계속 탈락하였다. 동독이 FIFA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것은 1974년 서독 월드컵이 유일하며, 이때 2차 조별 리그까지 진출하여 6위를 기록하였다.

1974년 서독 월드컵에서 동독과 서독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경기를 가졌다.[7] 이 경기는 1차 리그 최종전으로, 함부르크의 폴크스파르크슈타디온에서 열렸다. 당초 양국은 월드컵 개최지를 베를린의 올림픽 스타디온으로 할지를 두고 논쟁을 벌였고, 조 추첨 결과 같은 조에 편성되자 큰 화제가 되었다. 또한, 동독은 칠레와의 경기를 베를린에서 치르는 것을 반대했지만, 결국 베를린에서 경기가 열리게 되었다. 경기 전 예상은 서독의 압도적인 우세였으나, 동독이 1-0으로 승리하는 이변을 일으켰다. 이 승리로 동독은 1차 리그를 1위로 통과하여 2차 리그에 진출했다.

FIFA 규정으로 인해 1990년 동독 축구 연맹(DFV)과 서독 축구 연맹(DFB)이 통합되기 전까지 동독 대표팀 선수들은 서독 대표팀에서 뛸 수 없었다.

FIFA 월드컵 본선 기록width=1% rowspan=13 |예선 기록
년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순위경기득점실점
1954년불참불참
1958년예선 탈락3위4103512
1962년3위301236
1966년2위412155
1970년2위421177
1974년2차 조별리그6위6222551위6501183
1978년예선 탈락2위6330154
1982년2위420296
1986년3위8503169
1990년4위8314913
합계2차 조별리그1/1062225547228178765


3. 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동독은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에 진출한 적이 없다. 1992년 대회에는 예선 참가를 포기했다.[2]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기록예선 기록
년도라운드순위경기득점실점순위경기득점실점
1960년예선 탈락200225
1964년412177
1968년63121010
1972년6312116
1976년623187
1980년65121811
1984년621377
1988년8421134
1992년예선 참가 포기예선 참가 포기
합계0/9442010147657


3. 3. 올림픽

동독은 최고 국내 리그의 정예 선수들을 기용함으로써 서독(서독 올림픽 국가대표팀)의 아마추어팀들보다 올림픽 축구에서 훨씬 더 큰 성공을 거두었다.[8] 1964년에는 동독 팀이 서독 팀을 물리쳐 대표팀으로 선발되었고, 1964년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다. 동독은 1972년 대회에서 동메달, 1976년 대회에서 금메달, 1980년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올림픽 경기 기록width=1% rowspan=13|예선 기록
년도라운드순위경기 수득점실점선수 명단경기 수득점실점
1952년불참불참
1956년기권기권1956년
1960년예선 탈락2101141960년
1964년동메달3위6411124선수 명단74211461964년
1968년예선 탈락65011661968년
1972년동메달3위7412239선수 명단4310701972년
1976년금메달1위5410102선수 명단6420911976년
1980년은메달2위6411122선수 명단디펜딩 챔피언 자격으로 출전1980년
1984년기권기권1984년
1988년예선 탈락84311251988년
합계금메달 1개10개 대회 중 4회24164457173321845922



월드컵이나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는 부진했던 동독도 올림픽에서는 종종 큰 성과를 거두었다. 이는 동구권의 국가 아마추어 제도가 올림픽 아마추어 헌장에 부합했기 때문이며, 다른 동구권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동독도 예외는 아니었다.


  • 1964년 - 동메달
  • 1972년 - 동메달
  • 1976년 - '''금메달'''
  • 1980년 - 은메달

4. 주요 선수

요아힘 슈트라이히는 동독 최다 득점자이자 최다 출전 선수이다.


동독 축구 국가대표팀의 주요 선수로는 요아힘 슈트라이히, 위르겐 슈파르바서, 마티아스 자머 등이 있다.

요아힘 슈트라이히는 동독 대표팀에서 가장 많은 경기에 출전하고 가장 많은 골을 넣은 선수이다.[6] 그는 1969년부터 1984년까지 98경기(FIFA 기준)에 출전하여 53골(FIFA 기준)을 기록했다.

최다 출전 선수[6]
#선수출전 경기 수 (FIFA 기준)득점 (FIFA 기준)활동 기간
1요아힘 슈트라이히(Joachim Streich)98531969–1984
2한스-위르겐 도르너(Hans-Jürgen Dörner)9681969–1985
3위르겐 크로이(Jürgen Croy)8601967–1981
4콘라트 바이제(Konrad Weise)7811970–1981
5에버하르트 포겔(Eberhard Vogel)69241962–1976
6로날드 크레어(Ronald Kreer)6521982–1989
7베른트 브란슈(Bernd Bransch)6431967–1976
8페터 두케(Peter Ducke)63151960–1975
9마르틴 호프만(Martin Hoffmann)62151973–1981
10게르트 키셰(Gerd Kische)5901971–1980
로타르 쿠르뷔바이트(Lothar Kurbjuweit)5931970–1981
마티아스 리베어스(Matthias Liebers)5931980–1988



최다 득점 선수[6]
#선수득점 (FIFA 기준)출전 경기 수 (FIFA 기준)활동 기간
1요아힘 슈트라이히(Joachim Streich)53981969–1984
2에버하르트 포겔(Eberhard Vogel)24691962–1976
3한스-위르겐 크라이셰(Hans-Jürgen Kreische)22461968–1975
4라이너 어른스트(Rainer Ernst)20561981–1990
5헤닝 프렌젤(Henning Frenzel)19541961–1974
6위르겐 눼르트너(Jürgen Nöldner)16291960–1969
안드레아스 톰(Andreas Thom)16511984–1990
8마르틴 호프만(Martin Hoffmann)15621973–1981
페터 두케(Peter Ducke)15631960–1975
10위르겐 슈파르바서(Jürgen Sparwasser)14481969–1977
울프 키르스텐(Ulf Kirsten)14491985–1990


5. 역대 감독

이름재임 기간경기 수
빌리 엘가르트1952년 ~ 1953년3
한스 지거트1954년3
János Gyarmati|야노시 야르마티hu1955년 ~ 1957년10
프리츠 괴디케1958년 ~ 1959년15
하인츠 크뤼겔1959년 ~ 1961년3
Károly Sós|카롤리 소시hu1961년 ~ 1967년43
하랄트 제거1967년 ~ 1969년12
게오르크 부쉬너1970년 ~ 1981년113
루돌프 크라우제1982년 ~ 1983년20
베른트 슈탄게1983년 ~ 1988년51
만프레트 차프1988년 ~ 1989년6
에두아르트 가이어1989년 ~ 1990년12


6. 동독과 독일 대표팀에서 모두 뛴 선수

1990년 독일 재통일 이후, 동독 대표팀과 통일 독일 대표팀에서 모두 활동한 선수 목록이다. 다음은 독일축구협회(DFB) 공식 웹사이트에 기재된 수치를 사용한다.

선수명동독통일 독일합계
경기득점경기득점경기득점
울프 키르스텐4914512010034
마티아스 잠머2365187414
안드레아스 톰51161026118
토마스 돌297181478
다리우스 보슈70171241
올라프 마르샬40133173
하이코 숄츠701080
디르크 슈스터403070


참조

[1] 서적 Chronik des deutschen Fußballs: die Spiele der Nationalmannschaften von 1908 bis heute https://books.google[...] wissenmedia Verlag
[2] 뉴스 'Ein Spiel, das wir nicht gewinnen konnten' http://diepresse.com[...] 2009-11-14
[3] 웹사이트 East Germany - International Results 1952-1990 https://www.rsssf.or[...] The Rec.Sport.Soccer Statistics Foundation 2021-07-03
[4] 웹사이트 Oct. 3, 1990 {{!}} East and West Germany United After 45 Years https://archive.nyti[...] 2011-10-03
[5] 웹사이트 The East German team that refused to die https://www.bbc.co.u[...] BBC 2015-12-28
[6] 웹사이트 East Germany - Record International Players https://www.rsssf.or[...]
[7] 문서 1992년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에서 동독과 서독이 같은 조에 편성되었지만, 조 추첨 직후 독일이 재통일되어 결국 다시 경기를 치르지는 않았다.
[8] 문서 동독 축구협회 창립 이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